뜸요법이란 쑥을 재료로 하여 만든 여러 가지 모양의 뭉친 쑥을 피부 표면에 놓고 태워서 인체의 여러 질환을 치료할 목적으로 사용합니다
뜸이 침과 다른 가장 큰 효과는 침이 기운의 조절과 균형에 중점을 둔 치료로 막힌 것을 뚫어준다는 의미가 더 있다고 보면 됩니다.
뜸은 몸을 따뜻이 하여 혈액 순환에 도움을 주고 인체의 면역능력을 좋게 해주는 보법(補法)의 역할이 더 강하다.
1. 직접구 : 뜸이 피부와 직접 닿은 상태에서 뜸을 뜨게 되므로 뜸을 뜬 자리에 상처가 남습니다. 여기에는 물집을 만들어서 치료를 하는 화농구, 물집이 생기지 않게 하는 비화농구가 있으며, 쑥의 크기에 따라 맥립구(麥粒灸,보리쌀 크기), 중주구(中炷灸,대추씨 크기), 대주구(大炷灸, 통마늘 크기)가 있습니다.
2. 간접구 : 쑥과 피부 사이에 격강구(생강 조각), 격산구(마늘 조각), 격염구(소금), 황토구(황토) 등을 깔고 뜸을 뜨거나 항아리 모양의 뜸기구를 이용하여 뜸이 피부에 직접 닫지 않으면서 상처가 남지 않고 따뜻한 기운만 통과시키는 시술방법입니다.
뜸을 뜨는 방법이나 주의할 점이 있다면?
화상을 입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는데요
원래는 쑥을 직접 피부에 대고 뜸을 뜨고 뜸 든 자리에 물집이 잡힐 정도로 쑥뜸을 하는 것이 질병 치료에 효과가 좋아서 많이 사용하였으나 요즘에는 피부에 상처가 나는 문제로 피부와 쑥 사이에 생강이나 소금 등을 대는 간접적인 방법을 많이 쓰는데요
특히 어르신들 경우에 피부 감각이 둔하여서 뜨거운 감각을 잘못 느끼는 경우가 많고 뜨거워야 치료효과가 좋다고 생각하여서 뜨거운데도 참고 있다가 화상을 입어서 고생하는 경우가 있기에 주의하여야 한다.
뜸을 뜨고 나서 뜸을 뜬 부위가 가렵거나 두드러기가 나는 분은 쑥에 알레르기가 있는 경우이기에 뜸 치료를 중단하거나 쑥에서 나온 진액이 직접 피부에 닿지 않게 뜸을 뜨거나 쑥의 분량은 처음에는 적은 양으로 시작하여 점차 늘려 나가며 치료가 끝난 이후에는 푹 쉬면서 안정하는 게 치료에 도움이 됩니다